LLM 시각화 | GeekNews


LLM 시각화 (bbycroft.net) - 전문문서 요약

개요

GPT 기반 대형 언어 모델 nano-gpt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문서입니다. 이 모델은 6개의 문자 시퀀스를 받아 알파벳 순서로 정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파라미터 약 85,000개를 가진 매우 소형 모델입니다.

모델 구조 및 작동 원리

토큰과 어휘 시스템

  • 토큰(token): 각 문자는 토큰으로 정의됨

  • 어휘(vocabulary): 모델이 인식하는 모든 토큰 집합

  • 토큰 인덱스: 각 토큰에 부여되는 고유 번호

  • 입력 형태: 토큰 인덱스의 숫자 시퀀스를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

입력 변환과 임베딩 과정

3D 시각화 표현

  • 초록색 셀: 처리 중인 숫자

  • 파란색 셀: 모델의 가중치(weight)

임베딩 변환

  • 각 입력 숫자는 48차원의 임베딩 벡터로 변환

  • 이 임베딩은 모델 구조 내 여러 트랜스포머 레이어를 연속적으로 통과

출력과 예측 메커니즘

예측 과정

  • 모델의 출력은 해당 시퀀스에서 예측되는 다음 토큰의 확률로 나타남

  • 6번째 입력 위치에서 다음 토큰이 ‘A’, ‘B’, 'C’일 확률 분포를 예측

  • 예시에서 모델이 'A’일 확률이 가장 높다고 예측

반복적 생성 과정

  • 예측 결과를 다시 입력에 넣어 과정을 반복

  • 이를 통해 전체 시퀀스를 점진적으로 생성

목표 및 성능

주요 목표

  • 6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알파벳 순서로 정렬

  • 예시: "ABBBCC"와 같은 형태로 정렬

모델 규모

  • 파라미터 수: 약 85,000개 (nano-gpt)

  • GPT 대형 언어 모델의 축소 버전

커뮤니티 반응 및 관련 자료

Hacker News 의견 요약

긍정적 평가

  • 시각화 방식의 우수성: “정말 복잡하면서도 감탄스러움, 과정을 시각화하는 방식이 정말 멋짐”

  • 교육적 가치: “대단한 예술 작품 같음”, “5살 아들이 다니는 컴퓨터 동아리에서 아이들에게 보여주려고 계획 중”

학습적 한계 인식

  • 블랙박스 문제: “전체 과정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지만 모델의 내부 의사결정 기준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이 아이러니함”

  • 연구 필요성: “1년쯤 전에 찾아봤을 땐 아직 이 부분에서 진전이 없었음”

관련 학습 리소스

추천 시각화 자료

  1. 조지아텍 Transformer 시각화
  1. The Illustrated Transformer
  1. Sebastian Raschka 아키텍처 게시글
  1. AlphaCode 시각화

종합 리소스

실용적 활용 가능성

교육 도구로서의 잠재력

  • 인터랙티브 학습: “생성 과정에서 attention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나 프롬프트가 출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보여줄 수 있을 듯함”

  • 블랙박스 이해: “관측 도구와 결합하면 과학자들에게 '블랙박스’라고 알려진 모델 내부를 파헤칠 수 있게 해준다”

접근성 고려사항

  • 모바일 사용법: “모바일이면 플레이를 누르고 끝까지 줌 아웃한 뒤 아래로 스크롤하면 됨”

주요 특징 및 의의

시각화의 혁신성

  • 3D 시각화를 통한 직관적 이해 제공

  • 복잡한 트랜스포머 구조의 단순화된 표현

  • 실시간 처리 과정의 시각적 추적 가능

학습 효과

  • LLM 내부 작동 원리의 이해도 향상

  • 토큰 처리에서 최종 출력까지의 전 과정 파악

  • 확률 기반 예측 메커니즘의 직관적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