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UI와 Visual Studio를 사용하여 첫 번째 Windows 앱을 만들어보세요. | Michael Hawker


WinUI와 Visual Studio를 활용한 Windows 애플리케이션 개발 완전 가이드

개요 및 목표

Michael Hawker(ZAML Llama)가 제시하는 이 가이드는 WinUI와 Visual Studio를 사용하여 첫 번째 Windows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완전한 로드맵입니다. C# 개발자들이 네이티브 Windows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학습 경로를 제공합니다.


1단계: 개발 환경 구축

핵심 시작점

  • 공식 포털: https://windev.ms

  • 주요 특징:

  • 현대적이고 세련된 접근 가능한 UI

  • C# 및 C++ 지원 (이 가이드는 C# 중심)

  • 최신 Windows 하드웨어 최적화

  • Windows App SDK의 일부 (새로운 AI API 포함)

필수 설정 단계

주의사항: 개발자 모드 활성화는 필수입니다

  1. 개발자 모드 활성화
  • 설정 → 시스템 → 개발자용

  • 개발자 모드 토글 활성화

  1. Visual Studio 설정
  • Visual Studio Installer 실행

  • “WinUI application development” 워크로드 체크 (필수)

  • C++ 개발 시 추가 옵션 선택 가능

실용적 팁: Preview 버전의 Visual Studio를 사용하면 최신 Windows 템플릿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2단계: 프로젝트 생성 및 구조 이해

프로젝트 템플릿 선택

  • “WinUI Blank App (Packaged)” 선택

  • 단일 프로젝트 Windows 앱 생성

핵심 파일 구조

중요: 각 XAML 파일은 대응되는 C# 파일과 쌍을 이룹니다.

  1. Manifest 파일들: 배포 및 Microsoft Store 게시용

  2. App.xaml: 애플리케이션 전체 공유 리소스

  3. App.xaml.cs: 애플리케이션 진입점 (OnLaunched 메서드)

  4. MainWindow.xaml: 메인 UI 구성 요소

  5. MainWindow.xaml.cs: XAML 컴포넌트 초기화

주요 개념 이해

  • Micah backdrop 효과: 네이티브 Windows 성능 이점 활용

  • OnLaunched 메서드: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실행되는 진입점

  • MainWindow 생성: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디스플레이 창


3단계: XAML 이해 및 활용

필수 학습 리소스

핵심 도구: WinUI Gallery는 모든 UI 컴포넌트의 완벽한 카탈로그입니다

  • WinUI Gallery (Microsoft Store)

  • 실제 예제와 소스 코드 제공

  • 복사 가능한 XAML 스니펫

  • 대화형 데모

실용적 개발 워크플로우

팁: F12 키를 사용하면 이벤트 핸들러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컴포넌트 추가 과정:
  • WinUI Gallery에서 원하는 컴포넌트 검색

  • 예제 코드 복사

  • Visual Studio에 붙여넣기

  • F12로 이벤트 핸들러 자동 생성

  1. 디버깅 기법:

// Debug.WriteLine 사용 예제

Debug.WriteLine("Main window initialized");

  • Action Breakpoints로 비침투적 디버깅

  • UI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디버깅 방법

주의사항: UI 개발에서는 breakpoint가 UI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Debug.WriteLine이나 Action Breakpoints를 활용하세요.


4단계: 고급 컴포넌트 및 NuGet 패키지

Windows Community Toolkit

중요: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하는 고급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 추가 UI 컨트롤 제공

  • 설정 페이지 구성을 위한 전문 컨트롤:

  • Settings Card

  • Settings Expander

NuGet 패키지 관리 절차

실용적 팁: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반드시 확인하고 설치하세요

  1. 프로젝트 우클릭 → “Manage NuGet Packages”

  2. CommunityToolkit.WinUI.Controls.SettingsControls 검색 및 설치

  3. 오픈소스 라이선스 확인 및 동의

  4. XAML에 네임스페이스 추가


<!-- 네임스페이스 추가 예제 -->

xmlns:controls="using:CommunityToolkit.WinUI.Controls"


5단계: MVVM 패턴 구현 (핵심 아키텍처)

MVVM 개념 이해

핵심: 데이터와 뷰의 분리를 통한 유지보수성 향상

  • Model: 데이터 계층

  • View: XAML UI 표현 계층

  • ViewModel: 애플리케이션 로직 및 데이터 조작 계층

웹 개발과의 유사성

  • Angular, React, Vue와 유사한 데이터-뷰 분리 패턴

  • XAML ≈ HTML의 역할

MVVM Toolkit 활용

장점: 크로스 플랫폼 지원 (WinUI, WPF, UWP, UNO, Avalonia, MAUI)

  • 소스 제너레이터 기반: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자동 생성

  • 핵심 인터페이스: INotifyPropertyChanged 자동 구현

실제 구현 단계

주의사항: .NET 9/10 기능을 사용하므로 언어 버전 설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NuGet 패키지 설치: CommunityToolkit.Mvvm

  2. ViewModel 클래스 생성:


public partial class MainViewModel : ObservableObject

{

[ObservableProperty]

private int count;

[RelayCommand]

private void IncrementCount() => Count++;

}

  1. 언어 버전 설정:

<LangVersion>preview</LangVersion>

실용적 팁: 소스 제너레이터가 생성한 코드는 Dependencies → Analyzer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단계: 데이터 바인딩 구현

ViewModel 연결


public MainViewModel ViewModel { get; } = new();

X:Bind 문법 활용

중요: X:Bind는 컴파일 타임 타입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 단방향 바인딩 예제 -->

<TextBlock Text="{x:Bind ViewModel.Count, Mode=OneWay}" />

<!-- 명령 바인딩 예제 -->

<Button Command="{x:Bind ViewModel.IncrementCountCommand}" />

바인딩 모드 이해

주의사항: 기본값은 OneTime이므로 데이터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Mode를 명시해야 합니다

  • OneTime: 한 번만 바인딩 (기본값)

  • OneWay: 데이터 변경 시 UI 업데이트

  • TwoWay: 양방향 동기화


7단계: 고급 디버깅 및 분석 도구

XAML 디버깅 도구바

핵심 도구: Live Visual Tree는 실시간 XAML 구조 탐색의 핵심입니다

  1. 요소 선택 도구: UI 요소 직접 선택 및 분석

  2. 경계 표시: 요소의 시각적 경계 확인

  3. Live Visual Tree: 실시간 XAML 구조 탐색

Live Property Explorer

실용적 활용: 바인딩 문제 해결에 매우 유용합니다

  • 실시간 속성 값 확인

  • 바인딩 상태 분석

  • 평가된 값 모니터링

  • 새로고침을 통한 동적 업데이트 확인

고급 분석 기능

: “Just My XAML” 토글을 해제하면 컨트롤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Just My XAML” 토글: 사용자 정의 XAML vs 전체 컨트롤 구조

  • 세밀한 컴포넌트 분석: Settings Card 내부 구조 탐색

  • 실시간 속성 변경: Live Preview에서 직접 XAML 수정

XAML Live Preview

장점: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핫 리로드 시나리오: 코드 변경 즉시 반영

  • 개발 프로세스 가속화: Visual Studio 내에서 실시간 미리보기

  • 빠른 프로토타이핑: 부트스트랩 개발 지원


추가 학습 리소스 및 확장

공식 학습 채널

추천: Windows Developers YouTube 채널은 심화 학습에 필수입니다

  • Windows Developers YouTube: 심화 학습 콘텐츠

  • MVVM 패턴 상세 가이드

  • XAML 스타일 및 리소스

  • 앱 구성 및 조직화

확장 학습 영역

다음 단계: 기본기를 익힌 후 다음 주제들을 학습하세요

  • 스타일 및 리소스 관리

  • 고급 MVVM 패턴

  • Windows 특화 기능 활용

  • 성능 최적화 기법


마무리 및 핵심 포인트

완성된 개발 생태계

성과: 이 가이드를 통해 얻는 핵심 역량들

  1. 체계적 접근: 환경 설정부터 고급 디버깅까지

  2. 실용적 도구 활용: WinUI Gallery, Community Toolkit, MVVM Toolkit

  3.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 MVVM 패턴을 통한 유지보수성

  4. 전문가급 디버깅: Live Visual Tree, Property Explorer 활용

  5. 개발 효율성: 핫 리로드, 소스 제너레이터 활용

최종 목표 달성

이제 여러분은 현대적이고 성능 최적화된 Windows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모든 도구와 지식을 갖추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 제시한 단계별 접근법을 따라하면 전문적인 Windows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합니다.

3개의 좋아요